▲국민의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유일준 공천관리위원장이 18일 여의도 당사에서 비례대표 후보자 순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국민의힘TV

[기고] 장애인비례대표에게 재선의 길을 열어준 공천을 반기며

방귀희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우리나라에서 장애인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배출하기 시작한 1996년 이래 지금까지 장애인비례대표는 재선하지 못했다. 지역구 공천을 받기란 하늘의 별따기만큼 힘든 일이고, 설사 19대 민주통합당...
▲미국 국무부에서의 엑세블팀 단체사진. 정윤수 청년은 가장 우측에서 현수막을 들고 있다.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청년드림팀] ⑰ 자부심과 자신감을 보여준 미 국무부 방문기

살면서 미국 국무부를 직접 방문해 볼 기회가 있을까. 우리나라 정부 부처에도 출입하기 어려운데, 하물며 미국 정부 부처를 방문하고 관계자들과 대화할 수 있는 기회는 단언컨대...
▲송파구에 최초로 마을버스가 신설됐다는 것을 알리는 현수막을 단 마을버스 송파01번 마을버스©김훈배

[김훈배의 환승센터] 송파구 마을버스에 투입한 저상버스 감차, 도대체 왜?

지난 2022년 12월 15일부로 마을버스 노선이 없었던 송파구에 최초로 마을버스가 신설됐다. 송파01번 4대, 송파02번 3대, 송파03번 2대까지 세 개 노선에 총 9대가 운행을...
▲접근성 위원회(Access-Board)에서의 엑세블팀 단체사진. 정승원 청년은 가장 우측에서 현수막을 들고 있다.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장애청년드림팀] ⑯ 우리나라 접근성이 나아가야 할 길, Access-Board

난생처음 간 미국, 모든 것이 새로웠고 워싱턴 D.C.에서 일정의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는 날이었다. 고작 워싱턴 D.C.에서 이틀을 보냈을 뿐인데, 이제는 가는 길이 마치 원래...
▲미국 노동부 인장 ⓒ위키미디어

[장애청년드림팀] ⑮ 장애인 노동환경의 옳은 방향성 읽기, US Department of labor

세상에는 불편이 존재한다. 다양한 계층에서 느끼는 각기의 불편이다. 나는 불편 중 장애와 관련된 불편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런 내게 드림팀의 모든 과정은 ‘덜 불편한...
▲NIDILRR 로고

[장애청년드림팀] ⑭ 사용자 중심 접근성의 중요성, NIDILRR

우리 팀은 ‘2023년 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하다’의 기획 연수 중 ‘디지털포용’의 정책적 측면에서 미국 세 도시를 둘러보는 엑세블팀이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홍경순 수석연구원 팀장님과 장애청년 4명과 비장애청년...
▲2024년 2월 2일 서울시에서 발생한 발달장애인 가정의 참사를 추모하고 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발달장애, 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69] 발달장애인 가정 참사를 기억하며

69차 화요집회는 지난 2월 2일 서울에서 발생한 발달장애인 가정의 참사를 기억하고, 부녀의 안타까운 죽음을 추모하는 집회로 열렸습니다. 추도사 전문을 올립니다.우리는 장애를 가진 아이와 함께...
▲이하나 음성군피플퍼스트 수석부회장이 1월 30일 열린 화요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발달장애, 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68] ➁이하나 씨

저는 충북 음성에서 태어나고 지금까지 살고 있습니다. 제가 처음으로 장애라는 것을 알게 된 건 남동생이 태어났을 때부터 ‘죽을 것만 같은 압박감’이 자꾸 몸속에서부터...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경기지부 연천지회 한에스더(사진 왼쪽) 회원과 동료들이 1월 30일 화요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발달장애, 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68] ➀한에스더 씨

아름다운 재인폭포에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옛날에 줄을 잘 타던 재인광대가 있었습니다. 이 광대는 자신이 양쪽 절벽에 외줄을 묶어 그 위를 지나갈 수 있다고...
▲충북피플퍼스트센터에서 일하는 남혜정 씨가 1월 23일 화요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발달장애, 그들이 전하는 이야기 67] ➀남혜정 씨

충북피플퍼스트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남혜정입니다. 투쟁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투쟁~!!!저는 여행을 좋아하시는 부모님 덕분에 어렸을 때부터 여행을 자주 다녔습니다. 한번은 제가 찾은 카페를 부모님께서 만족해하셔서 뿌듯했었던...

많이 본 글

[김혜일의 접근성 브런치] 시각장애인은 휴대폰을 어떻게 사용할까?

②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사용 지난 2009년 즈음, 한국의 시각장애인들 사이에는 헛소문처럼 퍼지는 이야기가 있었다.“미국에서 파는 핸드폰은 터치폰인데도 화면 내용을 읽어주는 기능이 있어서 시각장애인도 사용할...
Langu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