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등급제 폐지 후 활동지원 수급자 17.4%, 급여량 하락… 종합조사 개편 등 대책 시급

0
661
정의당 장혜영 의원
▲장혜영 의원
  • 기존 활동지원 수급자(44,071명) 중 7,662명, 급여량 하락
  • 월391시간 받던 장애인 12명, 241시간 감소… 급여탈락도 477명
  • 3년 특례 적용 끝나는 ‘22년 7월 이후 대책 시급
  • 장혜영 의원 “24시간 존엄한 삶 대책 촉구”

[더인디고 조성민] 정의당 장혜영 의원은 문재인정부의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로 장애인활동지원 수급갱신자 7,662명(전체 수급자의 17.4%)은 오히려 급여량이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1일 밝혔다.

2019년 7월 1일 장애등급제 폐지 이후 활동지원서비스 갱신 전과 비교해 서비스 시간이 하락된 경우 3년간은 기존 시간으로 특례 적용하고 있지만, 문제는 당시 특례 적용된 장애인은 당장 내년 7월 이후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장혜영 의원은 “‘31년만의 장애인정책 변화’라며 문재인정부가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 시행하고 있지만, 하루 24시간 지원되는 존엄한 삶은커녕 기존 수급자 피해가 예상돼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갱신신청 후 종전 인정조사 급여액 대비 증감자 현황 /자료=장혜영의원실(보건복지부 제출자료 재구성)
▲갱신신청 후 종전 인정조사 급여액 대비 증감자 현황 /자료=장혜영의원실(보건복지부 제출자료 재구성)

장혜영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장애인활동지원 기존 수급자 월 한도액 산정특례 현황 세부자료’에 따르면, ’19년 7월부터 ’20년 12월까지 수급자격 갱신신청한 44,071명의 기존수급자 중 서비스 시간 감소자는 7,185명(16.3%), 탈락자는 477명(1.1%)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인활동지원은 장애인에게 필요한 필수적 사회서비스로서 ’19년 7월 이전에는 ‘인정조사’라는 판정체계로 급여량을 판정했지만, ’19년 7월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 이후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라는 새로운 판정체계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은 3년의 수급자격 유효기간이 적용되기에 기존 수급자도 유효기간 만료시 재판정을 받아야 하며, 이번에 확인된 7,662명은 ‘인정조사’에 비해 ‘종합조사’에서 낮은 급여량을 판정받은 장애인에 해당된다.

보건복지는 지난 ’19년 7월 보도자료를 통해 기존 수급자의 경우 “갱신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일부 수급자는 지원시간이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일정 기간 경과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고시(제2020-340호 제2장제3호사목)에 근거해 기존 지원시간보다 감소하는 경우 3년에 한해 기존 지원시간으로 ‘산정특례’ 적용을 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산정특례 적용된 7,662명은 내년 7월 이후부터 유효기간 종료일이 도래해‘종합조사’ 결과가 그대로 적용되어 서비스 시간이 하락될 수 있는 상황이다.

감소시간별로 살펴보면 기존에 월391시간 서비스를 받던 장애인 12명은 월150시간으로 변경되어 가장 큰 시간 감소로 나타났으며, 수급자격 탈락되는 장애인도 총 477명으로 나타나 예상되는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 장애유형별 하락자 현황 /자료=장혜영의원실
▲ 장애유형별 하락자 현황 /자료=장혜영의원실

장애유형별로는 ‘지적·자폐성’장애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들은 전체 하락인원의 50.4%, 전체 탈락인원의 61.2%에 달했다. 이는 ‘종합조사’ 도입 당시 ‘장애유형간 유불리’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사실로 드러난 것.

▲기존 인정조사 기본급여 등급별 하락자 현황 /자료=장혜영의원실

또한 서비스 필요도가 높은 중증장애인과 독거 등 취약한 환경에 놓여진 장애인의 비율(인정조사 활동지원등급 1~2등급 장애인 5,748명→75.0% / 독거·취약가구 환경 장애인 1,936명→25.3%)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장혜영 의원은 “정부는 장애등급제 폐지를 계기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을 달성하겠다고 했지만,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장애인의 45.1%가 돌봄이 불충분하다고 응답하는 등 돌봄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면서 “종합조사 도입 당시 장애유형별·환경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고스란히 확인되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장애인이 집단적 거주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살아가기 위해 돌봄 확대는 필수적”이라면서 “제도 변화로 인해 피해를 입는 장애인이 없어야 함은 물론, 하루 24시간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충분한 예산 마련과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인디고 THE INDIGO]

[더인디고 대표] 20대 80이 경제적 불평등의 상징이라면, 장애인 등 사회적 소수자 20은 권력의 불평등을 뜻하는 숫자 아닐까요? 20의 다양성과 차이를 함께 나눔으로써, 80대 20이 서로를 포용하며 보듬어가는 미래를 봅니다.
승인
알림
66276df46d0f0@example.com'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