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의무고용률, 공공부문 3% 조정 후 처음 법정기준 달성

0
140
▲ 2021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자료=인사혁신처
▲ 2021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자료=인사혁신처
  • 중증장애인 공무원 수 처음 천명 대 ‘1,018명’
  • 2년 연속 여성 관리자 임용목표도 초과 달성
  • 인사혁신처, ‘2021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발간

[더인디고 조성민]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3%로 상향된 2014년 이후 모든 공공부문이 법정기준을 넘어섰다.

2020년 말 기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3.67%, 4.01%, 3.52%로 법정기준인 3.4%를 모두 달성했다.

정부는 16일 장애인․양성평등․지역인재 등 균형인사 분야별로 2020년도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2021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2019, 2020년 장애인 고용 현황. 자료=인사혁신처
▲ 2019, 2020년 장애인 고용 현황. 자료=인사혁신처

장애인 공무원 신규채용 역시 느는 추세다.

국가·지방직 공채를 통한 신규 선발인원은 전년보다 24명 증가한 802명이다. 특히, 국가직의 경우 중증장애인 경력 채용을 통한 선발인원은 39명으로 2017년 22명, 2018‧2019년 25명에 비해 크게 증가해 중앙부처 내 중증장애인 공무원 수가 처음으로 천명 대(1,018명)를 넘어섰다.

공공기관의 경우 장애인 채용 비율은 2.3%로 전년과 같으며, 공공기관 내 중증장애인 수는 전년 대비 494명 증가한 3,096명이다.

▲ 2019, 2020년 중증장애인 고용 현황. 자료=인사혁신처
▲ 2019, 2020년 중증장애인 고용 현황. 자료=인사혁신처

한편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등 모든 공공부문에서 2년 연속 여성 관리자 임용목표도 초과 달성했다.

정부는 과소 대표된 여성 관리자 임용을 확대하기 위해 5개년(2018~2022) 임용목표를 설정하고 매년 그 실적을 관리해오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여성 공무원은 54.3만 명으로 전년 대비 16,451명 증가해 전체 공무원의 47.9%를 차지했다.

여성 고위공무원이 한 명도 없는 부처 역시 ‘18년 10개, ’19년 8개, ‘20년 7개로 단계적으로 감소 중이며, 현재는 3개 부처(중기부, 방통위, 새만금청)로 줄었다.

정부는 지역인재 등 사회통합형 인재와 이공계 선발도 계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국가직 지역인재 선발은 총 389명(7급 145명, 9급 244명)으로 전년 대비 11.1%인 39명이 증가했고, 지방직 9급 기술계고 채용은 346명으로 전년 대비 12.0%인 37명이 늘었다.

이인호 인사혁신국장은 16일 언론 발표를 통해 “형평성과 포용성 등 사회적 가치 실현과 범정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균형인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적 전략”이라면서, “이번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통해 범정부 균형인사 정책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한편 ‘2021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는 인사처 누리집(www.mpm.go.kr)과 행안부 누리집(www.mois.go.kr),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www.ali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인디고 THE INDIGO]

[더인디고 대표] 20대 80이 경제적 불평등의 상징이라면, 장애인 등 사회적 소수자 20은 권력의 불평등을 뜻하는 숫자 아닐까요? 20의 다양성과 차이를 함께 나눔으로써, 80대 20이 서로를 포용하며 보듬어가는 미래를 봅니다.
승인
알림
662284e554c95@example.com'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