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근의원(더불어민주당)

News

아파도 설명할 길 없는 청각·언어장애인… 수어통역사 배치 기준 마련해야

By 이호정 객원기자

September 30, 2021

청각·언어장애인이 진료를 받기 위해 의사와 환자의 대화를 통역해 주는 수어통역사가 필요하지만 수어통역 서비스 제공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은 30일 청각·언어장애인의 의료기관 이용을 위해 시도별 수어통역사 배치 기준 마련과 전문분야 교육을 확대해 수어통역센터의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수어통역 서비스 개발에도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기준 청각·언어장애인은 41만8180명으로, 청각장애인이 39만5789명, 언어장애인이 2만2391명이다. 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수어통역사가 상주하는 의료기관은 2개소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청각·언어장애인은 수어통역센터의 의료통역 서비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2020년 기준, 전국 수어통역센터는 197개소이고, 수어통역사는 976명이었다. 수어통역센터나 수어통역사에 대해 구체적 배치 기준이 없다 보니 시도별로 수어통역 인프라의 편차도 크다. 인재근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시도별 등록 청각·언어장애인 대비 수어통역센터 비율은 최대 28.8배, 수어통역사 비율은 최대 7.2배까지 차이가 났다.

구체적으로, 2020년 기준 수어통역센터 1개소당 청각·언어장애인 수는 전국 평균 2122.7명이었다. 시도별 수어통역센터 1개소가 담당하는 청각·언어장애인 수는 강원(858.1명), 전남(1019.3명), 전북(1397.9명) 순으로 적었고, 인천(2만4725.0명)이 가장 많았다. 강원과 인천의 차이는 약 28.8배였다. 한편 수어통역사 1명당 등록 청각·언어장애인 수는 전국 평균 428.5명으로, 강원(183.9명), 전남(251.8명), 세종(262.6명) 순으로 적었고 대구(1321.8명)가 가장 많았다. 강원과 대구는 약 7.2배의 차이를 보였다.

인재근 의원은 수어통역 서비스에 대한 수어통역센터와 의료기관의 관심 및 인식도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수어통역센터가 지원한 의료통역은 총 19만6601건인데, 이를 청각·언어장애인 1인당 연간 지원건수로 환산하면 0.47건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의료통역은 일반 통역에 비해 의료분야의 전문성이 요구되는데, 전문분야에 대한 수어통역사 교육도 미흡했다. 2018~2020년까지 최근 3년간 의료통역사 양성과정을 실시한 지역은 서울과 전남 2개 지역에 불과했고, 이를 수료한 수어통역사도 67명뿐이었다.

인재근 의원은 “수어통역사의 의료기관 배치를 논의하는 것과 동시에 수어통역센터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시도별 등록 청각·언어장애인 수에 비례해 수어통역사 배치 기준을 마련하고 의료통역 등 전문분야 교육을 체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초 국내 연구진은 수어를 구사하는 아바타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한 수어통역 서비스 개발과 보급에도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광주광역시 수어통역센터는 2019년 10월 운영 종료되어 수어통역센터 및 수어통역사 분석은 광주광역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 관한 수치이다.

[더인디고 THE INDI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