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장애인 3명, 투석치료 못 해 끝내 사망… 지정병원 확대 등 의료접근성 대책 시급

0
393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
▲코로나 속에서도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장면(사진 가운데) /사진=유튜브 화면 캡처(https://www.youtube.com/watch?v=wDhMwHcOn-k)
  • 인공신장실 집단 감염… 음압 혈액투석 병상 부족 “속수무책”
  • 신장협회, “지정병원 확대와 방역이동서비스 지원해야”
  • 이종성 의원 “때 놓친 투석환자 사망은 사실상 인재”
  • ‘장문현답’ 6회차, 장애인 건강권 대책 논의

[더인디고 조성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하고 있지만, 중증장애인들의 전담병원 입원이나 활동지원 여부 등이 불투명해지자 의료접근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부산 지역에서 집단 감염된 신장장애인 15명 중 3명이 사망하자 논란이 지속하는 가운데, 장애인 건강권 강화가 차기 대선공약의 중요한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부산의 모 병원이 운영하는 인공신장센터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신장장애인뿐 아니라 의료진 및 종사자 등 30여 명이 코로나19에 집단 감염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문제는 신장장애인 중 3명이 병상을 기다리다 제때 투석을 받지 못해 끝내 숨을 거뒀다. 주 3회, 주기적으로 투석을 해야 하는 신장장애인의 경우 제때 그리고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위험한 상태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이미 사망한 3명은 기저질환으로 인해 코로나 확진 자체로도 생명이 위급한데도, 일주일 가까이 병상을 기다리다 결국 요독이 쌓이고 몸이 붓거나 숨이 차면서 죽음을 맞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병원에서는 투석 가능한 음압 병상이 부족해 회당 4시간 이상씩 해야 할 투석을 2시간으로 단축하며 운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혈액투석 환자는 재택치료가 불가능해 주기적으로 병원에 가야 한다. 하지만 투석이 가능한 음압 병상을 보유한 코로나19 전담병원은 전국에 12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정 신장장애인협회 사무총장은 더인디고와의 전화 통화에서 “투석병원은 밀집된 공간에서 20~30명이 동시에 투석을 하기 때문에 집단감염의 위험이 크다. 또 이동권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감염에 대한 불안 속에서도 대중교통 등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영정 총장은 이어 “코로나19 초반, 신장장애인이 고위험군에 포함되지 않는 등 대책 부재로 사망한 분들이 여러 명 있었다. 그런데도 2년 다 된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다”면서 “특히, 이번 부산 모 병원은 투석 가능한 음압병상 자체가 부족했고, 또 시설을 갖춘 타 병원에라도 이송했으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겠지만, 그조차도 여의치 않은 현실이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신장장애인 확진자를 위한 지정병원 확대뿐 아니라 코로나 접촉자나 의심환자 등 자가격리자들이 안전하게 투석을 받을 수 있도록 자가격리 지정병원 및 방역·광역 이동지원서비스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이종성 장애인복지지원본부장은 28일 ‘중앙선대위 장애인복지지원본부 충북지역본부’ 출범식에 참석해 신장장애인의 의료접근성 문제를 지적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이종성 장애인복지지원본부장이 6차 장문현답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이종성의원실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이종성 장애인복지지원본부장이 6차 장문현답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이종성의원실

이종성 의원은 지역 내 신장장애인들과의 정책간담회에서 “장애인의 의료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계획이 너무나 소극적”이라고 전제한 뒤, “이번 신장장애인들이 치료 받을 병상을 기다리다가 끝내 사망에 이르게 된 것은 사실상 인재”라며 현 정부의 장애인 의료 및 방역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신장장애인은 “공공의료 부문에서 인공신장실을 운영하는 곳은 22개소에 불과하고, 이 중 야간 투석실을 운영하는 의료원은 5개소밖에 되지 않는다. 주말(토요일) 투석실 운영도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며 “평일 주간은 생계를 위한 경제활동으로 투석이 쉽지 않기에, 평일 야간과 주말 인공신장실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중소도시 의료기관이 경영상의 판단으로 인공신장실을 폐쇄하는 일이 없도록 지원해야 하고, 의료 취약지역의 투석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주장과 함께 투석환자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현재 혈액투석을 위한 혈관 시술은 산정 특례가 적용되나, 혈관 시술부터 투석까지 같은 날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즉 혈관 막힘을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혈관 시술 병원을 찾아 시술 당일에 투석까지 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기에 혈관 시술 후 익일 투석 시까지 산정 특례를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에 이종성 의원도 “장애인의 의료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 건강권과 관련된 정부 정책에 장애 유형과 정도를 반영해 현실에 맞는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인디고 THE INDIGO]
___________________

[관련 기사]

신장장애인의 안전한 투석은 이동권에서

승인
알림
660543588f7f3@example.com'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