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리포트] 포괄적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긴 여정

0
187
▲동등하게 식에 참여한 장애인 공무원/ⓒhttps://www.ayobandung.com/read/2020/01/23/77329/puluhan-kuota-cpns-jabar-untuk-difabel-masih-kosong
Abi Marutama 더인디고 인니통신원

[더인디고= Abi Marutama 인도네시아 통신원]  거버넌스에 관해서 특히 포괄적이라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포괄적 거버넌스는 오랫동안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장애인을 정부 기관에서 일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고용노동부는 2016년 기준 일부 부처와 지자체의 장애인 공무원 비율이 1.35% 미만이라고 지적했다. 이 수치는 한국 법이 정한 의무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대 수준 이하로 평가됐다.

인도네시아에서도 거버넌스 시스템이 아직 완전히 포괄적이지 않으므로 비슷한 상황이 발생한다. 인도네시아 장애인들은 높은 수준의 자격 조건 때문에 구직 신청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공 부문에서도 여전히 차별을 받는다.

정부는 전체 인원의 최소 2%를 고용하도록 한 인도네시아 장애인법이 제정된 이후, 중앙 및 지방 정부 기관에 수천 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마련했다. 2018년에는 여러 부처와 지자체에 걸쳐 1797개의 일자리가 있었지만 634개의 일자리만 채워졌다. 이 수치는 장애인법이 정한 의무 할당량에도 불구하고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시에 장애인들도 여러 이유로 구직 신청을 하지 않았거나 구직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직이 어려운 주 원인은 차별이다. 장애인이 일자리를 직접 신청할 수 없게 만드는 정책과 규정에서 이러한 차별을 쉽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즉 지체장애인만 지원할 수 있다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몇 가지 규정이 있다. 그리고 부정적 태도다. 인사담당자는 장애인을 인터뷰하거나 시험을 볼 때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청각장애인이나 시각장애인을 고용하는 것은 추가적 부담이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수화통역사와 특수 컴퓨터와 같은 편의 시설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지체장애인에게는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 쉽고 저렴하여 일자리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는 높은 자격 조건이다. 많은 사람들이 인도네시아에서 공무원이 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반드시 좋은 학점을 받고 일련의 시험을 치른 후에 공무원으로 선발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장애인들이 공공 부문의 일자리를 신청할 때에도 적용된다. 장애인이 고등 교육을 받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교육시스템상 접근성 보장이 잘 안 되어 있기 때문에 고등교육을 받는 것 자체가 어렵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장애인들은 기초교육만 받는다. 현재는 교육제도 개선으로 장애인이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지만 취업지원 시 연령 제한에 직면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정부 기관의 일자리를 비롯한 대부분의 공공 일자리는 연령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공무원이 되려면 22~35세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한편, 장애인은 또래의 비장애인보다 고등교육을 받는 데 시간이 더 걸려 나이가 들어 졸업하게 된다. 학력은 공무원이 될 자격이 되지만, 35세 이후에 대학을 졸업하기 때문에 그 일자리에 지원할 수 없다.

마지막 요인은 접근 가능한 공공 인프라의 부족이다. 공공 기반 시설은 교통, 접근이 쉬운 보도 및 건물을 포함한다. 접근이 어려운 교통수단과 보행로의 부족으로 장애인이 집에서 사무실까지 쉽게 이동할 수가 없다.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그들은 직장에 가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교통비로 써야 한다. 동시에 대부분의 정부청사에도 접근성이 떨어져 장애인의 일상 업무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인사과에서는 추가 비용을 투입하여 건물 및 사무실을 개조하거나 고치려 하지 않는다. 즉 접근성 부족을 핑계삼아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그 결과 사업장에 접근성이 확보되지 않아 취직 제안을 받아도 장애인이 거부할 수 밖에 없다.  [번역 = 더인디고 이호정 기자]

[원 문]  A Long Path to Achieve Inclusive Governance

What does it mean to be inclusive, especially when it comes to governance? Inclusive governance has long been discussed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focusing on bring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o work for government institutions. For instance, Kore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oted that in 2016 there wer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whose proportion of public officials with disabilities was less than 1.35% (less than 50% of the mandatory employment quota). This figure was considered poor because it did not meet the mandatory standard set by Korean laws.[1]

In Indonesia, the same situation also happens where the governance system is not yet completely inclusive for everyone. Indonesians with disabilities still face discrimination when applying for jobs in public sector, not to mention high standard requirements that often make them reluctant to apply for the jobs. Since the enactment of the Indonesian with Disability Act that requires the government to employ at the minimum of 2% of the total employees, the Indonesian government has opened a thousand more of job vacancies acros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In 2018, there were 1797 job vacancies across several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yet only 634 jobs were filled. This figure shows that the number of job vacancies was relatively low even under the mandatory quota required by the Disability Act. At the same time, persons with disabilities also did not apply or failed to apply for several reasons.

On the top of hindering factors is discrimination. Discrimination often comes from two elements. It comes from policies and regulations that directly prevent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apply for jobs. For instance, there are several regulations that specifically state the jobs are not suitable for the blind and only those who are physically disabled allowed to apply. The second element is negative attitude. Human resource staff tend to underestimate persons with disabilities when interviewing or testing them. They think employing a deaf or a blind person may give them additional burdens add extra costs because they need to provide reasonable accommodations such as a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computer with special equipment. Job vacancies are often open for those who have physical disabilities because it is easy and cheap to provide basic infrastructures for them. 

The second factor is high standard requirements. It is very common to think that being a government officer in Indonesia is difficult. Everyone must have a good GPA and undertake a series of examinations before being selected as government officers. This also appli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when applying for jobs in public sector which often poses problems for them. The problem has become complicated it is well-known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in achieving higher education. Because of inaccessible education system makes them cannot access higher education and as a result most persons with disabilities only attain basic education. With the current improvement in education system,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able to attain higher education butt another problem occurs when they are faced with age limitation when applying for jobs. Most formal jobs including jobs in government agencies have certain age limit. For example, to be a government officer, someone must be between 22-35 years old. Meanwhile, beca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ake higher education later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causes them to graduate at older age. Academically they are qualified persons to be the government officers, yet because they graduate from universities after 35 years old, they cannot apply for the jobs.

The last factor is the lack of accessible public infrastructure. Public infrastructure cover transportation, easy-access sidewalks and accessible buildings. The lack of inaccessible transportation and sidewalks prevents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being easily mobile from their homes to offices. If this continues, they must spend more extra costs to cover transportation for them to be able to go for work. At the same time, most government buildings also lack accessibility that may complicat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to do their daily works. Lack of accessibility is also often used by the Human Resource division for not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because they do not want to renovate or modify facilities in the building and working tools that may add additional costs. As a result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often refused for the jobs offered because of the inaccessible workplaces that should be modified under the Disability Act and the Public Works and Housing Ministerial Regulation on Accessibility Provision in Public Buildings.

[1] Kore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publishes list of 548 workplaces with poor record of employing disabled people, down by 85 compared to year ago, http://www.moel.go.kr/english/mobile/view.jsp?idx=1375

인도네시아 법무부 인권 분석가이며, 장애와 인권 전문가이다. 인도네시아 보건부에서는 장애인 건강관리시스템 관련 정책과 법률안 마련을 주도하기도 했다.
승인
알림
6622c090bf647@example.com'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