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총, 동력보조장치 공적제도 제안 세미나 개최

53
▲동력보조장치 공적제도 진입 방안 모색 세미나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동력보조장치 공적제도 진입 방안 모색 세미나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23일 오전 9시, 국회 제1소회의실에서 개최
  • 장총, 최보윤·한지아·서미화 국회의원과 공동 주최

[더인디고]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하 한국장총)은 오는 23일 오전 9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최보윤·한지아·서미화 국회의원과 함께 ‘동력보조장치 공적제도 진입 방안 모색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세미나는 수동휠체어의 가벼움과 전동 휠체어의 동력을 결합한 ‘동력보조장치’의 필요성을 알린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국가기관을 통해 구입비 일부를 지원받는 ‘공적급여’ 품목으로의 제안을 위해 마련됐다. 동력보조장치는 수동휠체어 이용자들에게 신세계와 마찬가지였으나, 공적 지원제도가 없어 ‘민간 후원사업’으로 장애인들에게 보급되었다.

세미나 1부에서는 나사렛대학교의 공진용 교수가 기조 강연을 한다. ‘동력보조장치가 휠체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이유’와 국내외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보급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더불어 행복나눔재단이 휠체어 사용자 7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동력보조장치 사용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2부에서는 휠체어 사용 당사자가 말하는 ‘동력보조장치의 필요성’과 ‘공적급여 진입 필요성 및 주요 과제’ 들을 살펴볼 예정이다.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이찬우 정책위원장, 국립재활원 건강보건연구과 호승희 과장 등이 발표에 나선다. 또한, 행복나눔재단의 휠체어 사용 아동·청소년 이동성 향상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이 직접 발표자로 함께해 ‘사회 진출을 앞둔 청소년이 느끼는 동력보조장치의 필요성’을 말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장총은 장애인들의 이동권 증진을 위해 현대자동차와 함께 이동편의증진 사업을 추진했다. 경사로나 자동문과 같은 환경개선을 시작으로 3년간 436명에게 동력보조장치를 지원했다. 상상인그룹과 행복나눔재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에서도 지원했으나, 사회공헌 사업이 중단되거나 예산 지원 변경에 따라 동력보조장치를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비지원실 보조기기급 여부에 ‘장애인보조기기 보험급여 품목 내 동력보조장치 추가 요청’을 건의한 바 있다(2023.3.). 하지만 상품의 보편성과 안정성을 이유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이에 한국장총은 동력보조장치의 필요성과 제도 도입을 위한 과제를 담은 정책 리포트를 발간해, 국회와 지자체 등 2,000여 곳에 발송하여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했다.

올해 초, 행복나눔재단은 당사자 조직과 행정부처, 법률 학계 등을 포함한 ‘휠체어 동력보조장치 정책화 TF’를 구성했다. 동력보조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보조기기의 필요성을 재확인했다. 또한, 장애계와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 논의 끝에 <동력보조장치, 제도화를 위해 나아갈 길>을 주제로 열리는 세미나를 개최하게 되었다. 민간 지원사업에 의지하지 않고, 동력보조장치가 필요한 휠체어 사용자에게 있어 공적급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고자 한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의료적 및 사회적 관점에서 동력보조장치의 필요성과 공적 지원제도 도입을 위한 해결 과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더인디고 THE INDIGO]

감염병 시대 대학생이 되었습니다. 캠퍼스에서의 경험과 문제 인식은 모니터 화면이 전부이기에 사회와 소통하고자 나섰습니다.
승인
알림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