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장례식장 ‘빈소’에 장애인 접근 편의시설 설치 권고

57
▲국가인권위원회 외부 전경 ⓒ더인디고
▲국가인권위원회 외부 전경 ⓒ더인디고

  • 보건복지부에 세부 기준 마련 등 권고

[더인디고] 장례식장 빈소에 장애인 접근을 위한 편의시설을 설치하라는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의 권고가 나왔다.

관련해 인권위는 지난 5월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장애인등편의법)’의 세부 기준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고 9일 밝혔다.

진정인 A 씨는 모 병원 장례식장(이하 ‘피진정 장례식장’) 내부시설인 분향실과 접객실(이하 ‘빈소’)로 진입하려고 했지만, 빈소 입구 바닥에 높이 차이가 있어 전동휠체어로 접근할 수 없었다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제18조)은 장애인이 당해 시설물을 접근·이용하고, 장애인보조기구 등을 시설물에 들여오거나 시설물에서 사용하는 것을 제한·배제·분리·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인권위는 “진정이 제기된 이후 피진정 장례식장에 이동식 경사로와 실내용 휠체어가 비치된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시점에서 별도의 구제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보아 해당 진정은 기각했다”면서도, “보건복지부 관할 ‘장애인등편의법 시행령’에 장례식장의 내부 시설인 빈소와 관련해선, 세부 기준이 없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구체적으로 ▲장례식장 이용의 실질적 목적인 ‘빈소’의 접근·이용에 있어 장애인에게 충분한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관련 규정의 부재가 오히려 ‘정당한 편의’의 영역을 제한하고 있는 점, ▲전국적으로 유사 사건이 재발하고 있고 향후 빈소를 이용함에 있어 지속적인 차별이 예상되는 점, ▲‘빈소’ 관련 세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정당한 사유나 현행 법령 유지의 불가피성이 있다고 볼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하면, 보건복지부 장례식장 ‘빈소’에 장애인 등이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 설치에 관한 세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더인디고 THE INDIGO]

더인디고는 80대 20이 서로 포용하며 보듬어 살아가는 세상을 위한 인터넷 저널입니다. 20%의 사회적 소수자의 삶을 쪽빛 바닷속 살피듯 들여다보며 80%의 다수가 편견과 차별 없이 20%의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할 수  있게 편견의 잣대를 줄여나가겠습니다.
승인
알림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