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급여 81.2%가 1인 가구… 절반 이상은 노년기… 맞춤대책 절실

32
▲최보윤 국민의힘 국회의원 /사진=최보윤 의원 SNS
▲최보윤 국민의힘 국회의원 /사진=최보윤 의원 SNS
  • 1인 생계급여, 101만 가구중년·노년기 95%
  • 최보윤 의원 정부·국회, 1인가구·고령층 복지정책 힘 모아야

[더인디고] 생계급여 1인 가구 수가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의원(국민의힘)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생계급여 가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7월 기준 전체 생계급여 가구 수는 1248476가구였고, 이 중 1인 가구는 1013529가구로 전체의 81.2%를 차지한다고 2일 전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1인 가구 수급자 수는 ▲2019년 66만6485명에서, ▲2020년 72만1551명, ▲2021년 85만7034명, ▲2022년 92만8904명, ▲2023년 97만1544명으로 꾸준히 증가한 데 이어, ▲2024년 7월 기준, 1백만 명이 넘었다. 특히 노년기(65세 이상) 수급자는 같은 기간 동안 322364명에서 581013명으로 대폭 증가했고, 20247월 기준 전체 생계급여 1인 가구 수급자 중 57.3%를 차지했다.

▲연도별, 연령대별 생계급여 1인 가구 현황. 자료=보건복지부 (최보윤 의원실 재가공)
*행복이음 사회보장통계정보시스템 상 연령별 수급가구 수 추출이 불가하여 수급자 수로 추출함(시설생계급여 수급자 수는 미포함)
▲연도별, 연령대별 생계급여 1인 가구 현황. 자료=보건복지부 (최보윤 의원실 재가공) *행복이음 사회보장통계정보시스템 상 연령별 수급가구 수 추출이 불가하여 수급자 수로 추출함(시설생계급여 수급자 수는 미포함)

또한, 2024년 7월 기준으로 연령대별 1인 가구 수급자 현황을 살펴보면, ▲영유아기 821명, ▲학령기 2671명, ▲청소년기 5084명, ▲청년기 4만3523명, ▲중년기 38만603명, ▲노년기 58만1013명으로 중년기와 노년기 수급자가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보윤 의원은 “생계급여 수급자 중 1인 가구와 노년기 수급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맞춤형 복지 강화가 시급하다”고 전제한 뒤, “특히, 고령층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정부와 국회가 협력해 1인 가구와 고령층에 대한 생계 및 복지 정책을 더욱 두텁게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생계급여 수급 가구의 가구원 수별 현황을 보면, 1인 가구 다음으로 ▲2인 가구(16만6493가구), ▲3인 가구(4만3968가구) ▲4인 가구(1만6354가구) ▲5인 가구(5491가구) ▲6인 가구(1731가구), ▲7인 이상 가구(910가구) 순으로 나타나 소규모 가구일수록 경제적 취약성이 두드러졌다.

[더인디고 the indigo]

▶ 관련 기사

더인디고는 80대 20이 서로 포용하며 보듬어 살아가는 세상을 위한 인터넷 저널입니다. 20%의 사회적 소수자의 삶을 쪽빛 바닷속 살피듯 들여다보며 80%의 다수가 편견과 차별 없이 20%의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할 수  있게 편견의 잣대를 줄여나가겠습니다.
승인
알림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