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조기노화… 김예지 의원 ”노령연금 조기 수령 도입하자”

169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중증장애인 중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자 증가
  • 평균 기대수명은 77.9비장애인은 83.7
  • 독일·미국 등 조기 연금 수령 정책 이미 도입

[더인디고] 중증장애인의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자 수가 늘어나고 있어, 중증장애인 조기노화에 따른 노령연금 조기 수령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민연금공단이 김예지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장애등급제 폐지 후 2019년부터 장애정도심사 결정자(중증장애) 중 국민연금에 10년 이상 가입한 사람은 2019년 4966명에서 2023년 6183명으로, 최근 5년간 1217명이 증가했다.

▲장애등급제 폐지 후 장애정도심사 결정자(심한 장애) 중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자 /자료=국민연금공단
▲장애등급제 폐지 후 장애정도심사 결정자(심한 장애) 중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자 /자료=국민연금공단

중증장애인의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자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의 평균 기대수명은 비장애인에 비해 짧다.

국립재활원이 발간한 ‘장애인 건강보건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장애인 사망 시 평균 연령은 77.9세이며, 이중 특히 자폐성 장애인은 22.5, 지적장애인은 57.9세로 우리나라 국민 평균 기대수명인 83.7(통계청, 2022)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중증장애인이 은퇴 후,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만 65(1969년생부터 기준) 이전에 노령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조기 수령 제도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미 국민연금법 제61조에 따라 광원과 어선에서 종사하는 특수직종근로자에게는 강도 높은 노동으로 인한 상대적 기대여명이 짧은 점을 고려해, 만 55세부터 노령연금 수령이 가능하다. 중증장애인에 대한 노령연금 조기 수령 도입 또한 정책적으로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중증장애인 조기노화에 따른 조기 연금 지급 제도가 도입된 해외 사례도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발달장애 근로자 조기노화에 따른 고용주 및 당사자 지원방안 탐색 백서’에 따르면, 독일에서는 중증장애인의 경우, 정규 조기연금 지급 연령보다 4년 빠르다. 게다가 감액 없이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조기연금제도’가 있다. 미국에서는 신체적 정신적인 어려움을 동반하는 장애나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 근로 활동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 연금 조기수령을 신청할 수 있는 ‘사회보장 장애보험’이 도입됐다.

김예지 의원은 “일하는 중증장애인의 수가 많아지는 만큼, 중증장애인이 은퇴 후 의미있는 삶을 보내기 위해서는 노령연금 조기수령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며 “국민연금법 개정안 대표발의를 통해 노령연금 조기수령 제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인디고 THE INDIGO]

▶ 관련 기사

중증장애인 ‘조기노령연금’ 감액은 “불공평”… 국민연금법 개정 촉구

더인디고는 80대 20이 서로 포용하며 보듬어 살아가는 세상을 위한 인터넷 저널입니다. 20%의 사회적 소수자의 삶을 쪽빛 바닷속 살피듯 들여다보며 80%의 다수가 편견과 차별 없이 20%의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할 수  있게 편견의 잣대를 줄여나가겠습니다.
승인
알림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