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정통부,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발표
- 디지털 정보격차 완화… 전년 대비 0.6%p 상승
- 웹 접근성 수준 지속 개선… 평균 66.7점 기록
-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감소… 청소년층에서는 증가
[더인디고]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계층 간 정보격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층과 장애인의 디지털 접근성 수준이 개선되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는 연령대별로 상반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024년 디지털 포용 정책의 성과를 진단하고, ‘디지털포용법’ 제정에 따른 정책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일반 국민과 디지털 취약계층 간 디지털 정보격차 수준 ▲국내 웹사이트의 웹 접근성 수준 ▲전 국민의 스마트 기기·서비스 활용 의존도 등을 측정했다.
조사 결과, 2024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평균 77.5%로 전년 대비 0.6%p 개선됐다. 특히,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보유 여부를 측정하는 디지털 접근 수준은 96.5%, 컴퓨터·모바일 기기 기본 이용 능력을 측정하는 디지털 역량 수준은 65.6%(+0.5%p), 디지털 활용 수준은 80.0%(+1.0%p)로 모든 부문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계층별로는 고령층 71.4%(+0.7%p), 농어민 80.0%(+0.5%p), 장애인 83.5%(+0.7%p), 저소득층 96.5%(+0.4%p)로 나타나, 전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국내 웹사이트의 웹 접근성 평균 66.7점으로 전년 대비 0.9점 상승했다. 2019년 53.7점에서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는 교육서비스업이 76.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동산업이 60.5점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직원 수 50~99명 규모의 사업체가 7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는 종사자 수가 많은 사업체일수록 웹 접근성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서는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 위험군)의 비율이 22.9%로 전년(23.1%) 대비 0.2%p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청소년(만 10~19세) 42.6%과 유아동(만 3~9세) 25.9%로 각각 전년 대비 +2.5%p, +0.9%p 증가했으며, 성인(만 20~59세)과 60대 이상에서는 각각 22.4%(△0.3%p), 11.9%(△1.6%p)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의존 위험군은 영화·TV·동영상 시청, 메신저, 관심사 검색, 음악 감상 순으로 이용률이 높았으며, 일반 사용자군은 메신저, 영화·TV·동영상 시청, 뉴스 보기, 관심사 검색 등의 순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와 관련된 세부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인디고 THE INDIG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