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펜스·미끄럼 방지 미흡에 낙상 우려… 제도개선솔루션, 안산시에 개선 요구
[더인디고]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광덕공원이 시민 모두를 위한 휴식처로 조성됐지만, 휠체어 이용자를 비롯한 이동약자에게 ‘불편한 공원’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휠체어 이용자 A씨는 “지인의 도움으로 겨우 정상에 올랐지만, 잔디마당 등 주요 시설은 모두 계단으로만 연결돼 있어 접근할 수 없었다”고 호소했다. 공원 내 주요 동선이 대부분 계단으로 구성돼 있을 뿐 아니라, 급경사 구간에도 안전펜스나 안내문이 없다. 특히 경사로는 미끄럼 방지 처리도 미흡해 불편을 넘어 낙상 사고 위험 등 안전을 위협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다.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광덕공원의 구조는 휠체어 이용자가 독립적으로 공원을 이용할 수 없는 형태로, 이는 명백한 차별에 해당한다”면서 “공공시설이 시민 모두를 위한 공간이라는 기본 취지를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 여의도공원은 과거 휠체어 접근이 어려운 구조였으나, 2016년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의 요청에 따라 경사로 설치, 산책로 확장, 휠체어 동선 안내 표지판 추가 등 개선을 통해 무장애 공원으로 변모했다.

현행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8조 및 시행령 별표 2에 따르면, 공원은 장애물 없는 경로와 편의시설을 제공해 모든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법적 의무가 있다. 그러나 광덕공원은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원의 본래 목적에도 어긋나는 상황이다.
이에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안산시 공원관리과에 ▲무장애 통행로 설치 ▲계단 대체 동선 확보 ▲급경사 구간 안전펜스 및 안내문 설치 ▲미끄럼 방지 조치 등 실질적인 안전 개선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해당 안건의 진행 경과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홈페이지(http://kofdo.kr) 내 ‘제도개선’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인디고 THE INDIG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