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울산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자 자립욕구조사 실시… 학대 재발 방지 총력

26
▲울산 장애인거주시설 자립욕구조사 절차 ⓒ복지부
▲울산 장애인거주시설 자립욕구조사 절차 ⓒ복지부
  • 피해자 부모 등과 간담회 개최하여 의견 수렴
  • 울산시, 올해 하반기 장애인 자립지원 시범사업 참여

[더인디고]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최근 장애인 학대 사건이 발생한 울산광역시 소재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자립욕구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자립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립욕구조사는 오는 6월 16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피해자의 자립 의지를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및 관계 기관과 협의하고, 피해자 부모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쳤다.

앞서 복지부와 울산시는 피해자 부모, 해당 시설 종사자들과 두 차례의 간담회(4월 15일, 5월 28일)를 가졌다. 또한 조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울산시와 기초지자체, 장애인 관련 기관으로 구성된 조사원 35명이 참여하는 전문교육이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5월 28~29일 양일간 실시됐다.

울산 장애인거주시설 자립욕구조사는 ▲조사준비(계획 수립, 간담회, 현황 확정), ▲기초조사(인적사항 확인, 조사원 교육), ▲자립욕구조사(심층 대면조사 6월 16일~25일), ▲결과 분석 및 보고의 절차로 진행된다.

복지부와 울산시는 이를 바탕으로 피해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올 하반기부터 장애인 자립지원 시범사업에 본격 참여할 방침이다.

손호준 복지부 장애인정책국장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립을 희망하는 피해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복지부와 울산시, 관계 기관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국 대규모 장애인거주시설을 대상으로 한 인권실태 전수조사를 통한 학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도 오는 상반기 중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장애인자립지원 시범사업은 2026년 본사업 전환을 목표로 자립 효과 분석, 장애 특성별 지원 모형 마련, 지원 대상 규모 추계 등을 진행하고 있다.

[더인디고 THE INDIGO]

▶ 관련 기사

조규홍 장관, 울산 거주시설 장애인학대 “송구” “재발방지” 약속
울산 거주시설서 또 상습 폭행… ‘장애인 자립지원법’ 제정 시급

20년 넘게 과학교재를 만들고 있습니다. 1년간 더인디고 기자로 활동하며 사회적 소수자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승인
알림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