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뮤직, 장애인 음악가 진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롯데문화재단 후원 지속
사회적기업 툴뮤직이 롯데문화재단(롯데콘서트홀)으로부터 2년 연속 장애인 음악가 육성을 위한 기부금을 지원받았다. 한국메세나협회의 기업과 예술의 만남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기부로, 롯데문화재단과 툴뮤직이 결연을 맺었다. 기부금은...
감각의 다름이 공존의 예술로 피어나는 축제, “페스티벌 나다 2025” 개최
국내 대표 배리어프리 예술축제 "페스티벌 나다 2025"가 오는 2025년 5월 9일(금)부터 10일(토)까지 양일간,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14회를 맞이한 "페스티벌 나다"는 4차 산업 기술과...
장문협, 장애인문화예술 참여 확대… 인식개선 교육, 아카데미, 예술제 진행
뮤지컬 형태의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실시
장애인문화예술아카데미, 전국 17개 지역에서 운영
전국장애청소년예술제, 3.31.~6.13. 참가 신청
장애인의 문화 향유권 증진과 예술 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장애인문화예술원-모두미술공간, 2025년 장애인의날 기념 기획전 개최
장애를 넘어선 예술의 담론, 16인의 작가가 그려낸 조화로운 경계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예술적 대화의 장, 모두미술공간에서 펼쳐진다
예술의 힘으로 조화를 이루는 경계, 모두가 소통하는 열린 전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사장...
장애예술인의 작품활동 횟수 증가, 그러나…
사업비 부족, 연습할 공간과 대관 아쉬운 문제 존재
장애예술인이 보조금 처리하는 과정에도 어려움 해결 필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원장 김형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과 함께...
장애예술인의 발목 잡는 환경… 81.3%가 ‘편의시설 미흡’ 지적
장애예술인 3년간 평균 작품 발표·참여 횟수 40% 증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2024년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2021~2023년 기준)’를 조사한 결과, 장애예술인 81.3%가 활동이 어려운...
[축제와 접근성⑤] (좌담) 물리적 접근성부터 다양한 감각으로 보기까지, 축제 접근성 담론의 진화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 스파프(SPAF))는 재작년부터 축제의 장애인 접근성을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지난해도 창작진이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접근성을 시도하고, 장애·비장애 관객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축제와 공연을...
[축제와 접근성④] 각자의 속도와 방식으로 즐기는 축제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 스파프(SPAF))는 재작년부터 축제의 장애인 접근성을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지난해도 창작진이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접근성을 시도하고, 장애·비장애 관객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축제와 공연을...
[축제와 접근성③] 감각을 번역하고 확장하는 다양한 시도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 스파프(SPAF))는 재작년부터 축제의 장애인 접근성을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지난해도 창작진이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접근성을 시도하고, 장애·비장애 관객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축제와 공연을...
[축제와 접근성②] 관객이 평가한 작품 속 접근성 점수는?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 스파프(SPAF))는 재작년부터 축제의 장애인 접근성을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지난해도 창작진이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접근성을 시도하고, 장애·비장애 관객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축제와 공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