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 전동차 ‘의자 없는 칸’, 전형적인 교통약자 ‘배제’ 우려

0
134
서울시 지하철, 전동차 ‘의자 없는 칸’, 전형적인 교통약자 ‘배제’ 우려
▲서울교통공사가 내년부터 전동차 객실 '의자 없는 칸' 시범사업을 하겠다고 발표하자, 장애계는 장애가 있는 시민등 교통약자들을 배제하는 사업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 서울교통공사
  • 내년부터 출퇴근 시간 4·7호선 ‘의자 없는 칸’ 시범운행
  • 서울교통공사, 밀집도를 줄이면 혼잡도 낮아져 강조
  • 시민들, 빈 공간 만큼 더 많은 승객 몰릴 것…인프라 늘려야
  • 장애계, 장애시민 등 교통약자들 지하철 이용 더 어려워져

[더인디고 = 이용석 편집장]

서울시가 출퇴근 시간 지하철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전동차 객실 ‘의자 없는 칸’을 시범운행할 계획이라고 KBS를 포함한 다수 언론들이 보도했다.

오늘(1일) 서울교통공사(사장 백호)는 ‘전동차 객실 의자 개량 시범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시범사업 대상으로 지하철 4·7호선의 각 1편성에서 2개 칸을 의자 없는 상태에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 측은 의자를 없애면 그 공간만큼 승객들의 밀집도가 줄어 혼잡도를 낮출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각종 SNS에는 전동차 객실 의자가 없어지고 “활용 가능한 공간이 늘어나면 더 많은 인원이 탑승하게 되고 혼잡도는 그대로가 될 것”이라면서, 결국 하나마나한 미봉책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한 SNS 사용자는 이미 “지하철 1호선 전동차 객실에 접이식 의자를 설치했었던 적이 있었지만 곧 폐지했다”면서 왜 전면 시행이 되지 않았는지 되짚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 2002년과 2006년 서울지하철공사는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전동차 내 접이식 의자를 설치해 시범운행을 한 바 있다.

더구나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10월 6일 보도자료를 통해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가 높은 지하철 4·7호선의 열차 운행횟수를 늘렸더니 감소했다”면서, “증차나 증회 운행 외에도 안전도우미 배치 등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서울교통공사는 열차의 증차나 증회 운행 등 인프라를 늘리면 혼잡도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전동차 객실 ‘의자 없는 칸’ 운행은 혼잡도의 부담과 책임을 지하철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서민들에게 떠넘긴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전동차 객실 내 ‘의자 없는 칸’은 결국 장애가 있는 시민이나 노인, 임산부 아동 등 교통약자들의 이용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라는 점이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하 교통약자법)’은 교통약자를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모든 교통수단은 교통약자들이 차별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의무로 명백히 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지하철 전동차 객실 ‘의자 없는 칸’ 운행은 장애가 있는 시민을 포함한 교통약자들의 지하철 이용을 어렵게 하고 배제하는 만큼 교통약자법 위반이라는 의견도 있다.

장애계의 한 관계자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장애인들 중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들보다 목발이나 지팡이, 의족, 하지 보조기 등 이동보조기기를 착용해 이동하는 분들이 훨씬 많다”면서, 이들에게 의자조차 없는 전동차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교통환경을 강요하는 것은 명백한 차별이고 배제”라고 주장했다.

[더인디고 yslee506@naver.com]

오래 전에 소설을 썼습니다. 이제 소설 대신 세상 풍경을 글로 그릴 작정입니다. 사람과 일, 이 연관성 없는 관계를 기꺼이 즐기겠습니다. 그뿐입니다.
승인
알림
662eda31eb273@example.com'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