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혜화역 ‘침묵 선전전’, 전장연 활동가 8명 체포!...종교계, 한목소리로 ‘공권력’ 규탄

혜화역, 전장연 활동가 8명 체포!..종교계, 한목소리 ‘공권력’ 규탄

전장연 ‘침묵 선전전’… 서교공·경찰 투입 활동가 8명 체포 20분간 무정차 통과한 혜화역…시민과 ‘갈라치기’ 전장연 비판 종교계 한목소리로 과도한 공권력 비판…함께 연대할 것 오늘 오전 8시 무렵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IL센터 사회복지시설(화) 장애인복지법, 법사위 전체회의 의결

IL센터 사회복지시설(화) 장애인복지법, 법사위 전체회의 의결

법사위 전체회의 원안 의결…본회의 통과만 남아 의원들, 의견 양립 법안…부처가 절충했어야…복지부, 잘 준비 예정 한자연과 한자협, 내일 ‘환영’과 ‘규탄’ 기자회견 예정 장애계 IL센터들의 논란이 극심했던 IL센터의 사회복지시설(화)를...
보건복지부 전경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4년 13.6% 인상…4인 가구 21만 3000원 올라

실직 등 위기 상황으로 생계유지 곤란…생계·주거·의료 등 지원 다만, 저소득층 기준 충족해야…금융재산 4인 가구 1,200만원 미만 보건복지부, 12월 18일까지 행정예고…내년 1월 1일부터 시행 내년(2024년) 1월부터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이...
제주발달센터, ‘2023년 발달장애인 활동서비스 제공기관 성과보고대회’ 열어

제주발달센터, ‘2023년 발달장애인 활동서비스 제공기관 성과보고대회’ 열어

12월 6일 제주썬호텔에서 2023년 활동서비스 성과보고 제공기관별 주간활동서비스 우수사례 등도 공유 한국장애인개발원 제주특별자치도발달장애인지원센터(센터장 이은선, 이하 제주센터)는 지난 6일 제주썬호텔에서 “2023년 발달장애인 활동서비스 제공기관 성과보고대회”를 열었다. 이번 성과보고대회에는...
3개월째 멈춘 인권위 장애차별 시정활동...장추련, ‘직무유기’ 비판

3개월째 멈춘 인권위 장애차별 시정활동…장추련, ‘직무유기’ 비판

지난 3개월이 넘도록 공백인 장애차별조사1과 과장직 장애차별 여전히 만연…오래 비워둘 자리 아냐 지난 5년간 13,511건…인권위 장애차별 상담건수 가장 많아 장추련, 장애차별시정과 인권보호…인권위의 역할 촉구 장애인차별시정기구인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정신장애연대단체, 정부의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 ‘환영’

정신장애연대단체, 정부의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 ‘환영’

한국정신장애연합회, 정부의 정신건강정책 혁신 의지 ‘환영’ 강제 격리·강제이송 등 강제적 입원 ‘악순환’ 끊어 내야 혁신위에 정신장애 당사자 참여와 당사자 회복 지원 촉구 정신장애당사자단체 연대단체인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이하 연합회)가 지난...
재활협회, 베트남 장애시민 고용환경 개선 활동 나섰다

재활협회, 베트남 ‘장애시민 고용환경 개선’ 활동 나섰다

베트남 장애정책 관계자들과 정책간담회 진행 UNCRPD 기반한 장애포괄적 베트남 고용정책 제언 재활협회, 베트남 장애시민 고용 환경 개선 활동 이어갈 것 한국장애인재활협회(회장 김인규, 재활협회)가 지난 11월 27-28일 양일간...
우울증 100만 명, 자살률 1위...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 추진된다

우울증 100만 명, 자살률 1위…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 추진된다

정부, 정신건강…‘예방부터 회복까지’ 혁신방안 발표 10년 내 자살률 50% 감축, 100만 명 심리상담 제공 ‘강제 입원’ 강화도 포함…후견제 대상도 확대 ‘우려’ 장애계, 정신과 의사수 부족 등 의료적...
우리나라 장애인정책 현금급여 OECD 평균의 1/4에도 못미쳐

우리나라 장애인정책 현금급여 OECD 평균의 1/4에도 못미쳐

장애인정책 재정지출 빠른 증가에도 OECD 평균 1/3 수준 특히, 현금급여…협소한 포괄 범위와 적은 급여로 더 낮아 장애연금, 장애인연금 대상자 확대 등 제도 개편 시급 한국의 장애인정책 재정지출...
김예지, 장애시민들의 ‘권리 보장’...국회 공전으로 ‘고립’시켜선 안돼

김예지, 장애시민 ‘권리 보장’…국회 공전으로 ‘고립’시켜선 안돼

국민의힘, 최고의원회의… 김예지 의원 ‘장애시민 권리 보장’ 언급 ‘장애’, ‘우리 공동체의 일’ 강조…권리보장 위한 방안 강구해야 거대 양당의 정쟁으로 계류된 장애 관련 법안들 ‘우려’ 짚어 UNCRPD와 상충되는...

많이 본 글

▲지하철 9호선ⓒ서울시

[기고] 양천향교역, ‘장애인 에스컬레이터 추락사’ 책임은 ‘지하철 9호선’

정치권의 퍼포먼스에서 끝나버린 이동권 문제, 이번에도 개선의 움직임은 없었다. 장애계의 이동권 투쟁이 연일 화젯거리다. 문제는 화제가 되더라도 정작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곳은 그 어디에도...
Langu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