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국힘 하태경, ‘NGO 때리기’에 ‘전장연’ 본보기 언급, ‘왜?’

국힘 하태경, ‘NGO 때리기’에 ‘전장연’ 본보기 언급, ‘왜?’

‘NGO 때리기’ 나선 국힘, ‘폭력 조장 전장연’ 지목해 장애인의 시민 권리 주장이 ‘폭력 조장’? 혐오 조장일 뿐 일축 1원도 받지 않는다는 박경석 주장에 회원단체 지원금 지적한...
‘장애와 기후위기’, 글로벌 의제로 확장한 ‘2023 제주포럼’

‘장애와 기후위기’, 글로벌 의제로 확장한 ‘2023 제주포럼’

평화·경제·환경기후·여성 등과 함께 장애문제 아젠다化 기후위기 속 장애인 불평등 심화…거버넌스 당사자 참여 보장 민·관·정 포괄적 대응, ‘취약층(people in vulnerable)의 권리’ 강조 실천적 정책화로 의제 확장해야… 매뉴얼 그만,...
▲성악가 조수미 씨가 지난 2014년부터 전국의 특수학교에 휠체어그네를 기증했지만, 안전기준으로 철거됐다. /사진=KBS 뉴스 캡처

‘휠체어그네’ 안전기준 행정예고… 무장애 통합놀이터는 ‘글쎄’

조수미 휠체어그네 철거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사과 장애인용 안전기준 없어 철거... 산자부 대책 마련 비장애아동 안전사고 막기 위해 고정장치 등 무장애 통합놀이터... 국회 계류 장애아동이 이용할 수...
▲공항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가로막은 차량. /사진=MBC 유튜브

김예지, 장애인주차구역 주차방해 금지하는 교통약자법 개정안 발의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공항 등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를 방해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31일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에 따르면 교통약자를 위한 특별교통수단이나...
尹정부, ‘약자 복지’ 강조...사회서비스, 시장화 통한 경쟁해야

尹정부, ‘약자 복지’ 강조…’사회서비스 시장화’, 경쟁해야

선별 복지 중심의 돌봄서비스 강화…사회서비스 고도화 추진 윤 대통령, 복지사업 난립 지적…통폐합 통한 경쟁 강조 장애인 분야, 저상버스 의무화와 무장애 관광 등 확대도 포함 장애계, 장애인 서비스...
▲ 편의점 출입구 어디에도 휠체어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경사로가 없다. ⓒ더인디고

인권위, 편의점 가맹본사들에 ‘대구·경북’ 지역만!… ‘접근성’ 약속받아

대구·경북지역 장애인단체들, 편의점 접근성 미비 사례 모아 진정 인권위, 가맹본사 상대로 편의시설 설치 촉구… 개선 약속 받아내 이번 편의점 편의시설 개선은 ‘대구·경북’ 지역만 해당 이제 휠체어를 사용하는...
국내 최초,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개원하다

국내 최초,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개원하다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첫 사례 70개 병상에 재활치료·특수교육·돌봄도 제공 복지부, 공공어린이재활병원 7개 권역 순차적 확충 예정 국내 최초로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오늘(30일) 개원했다. 지난 26일 첫 진료를 시작한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권역별...
장애인개발원, ‘장애인 권리증진과 폭력예방 문화 확산’ 위해 양평원과 맞손

개발원, ‘장애인 권리증진과 폭력예방 문화 확산’ 위해 양평원과 맞손

성별과 장애, 두 차별기제에 대응하는 문화확산 뜻 모아 장애인식개선과 양성평등 관련 콘텐츠 활용 방안도 모색 이경혜 원장, 다중차별 장애여성…폭력과 차별로부터 보호해야 한국장애인개발원(원장 이경혜, 이하 개발원)과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원장 장명선,...
한자연과 114개 센터들, 탈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 ‘선언’

한자연과 114개 센터들, 탈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 ‘선언’

200여 명 수용 중인 서림케어드림과 탈시설 전환 사업 맞손 임태성 서림케어드림 원장, 시설장애인들의 ‘탈시설 욕구’ 확인 진형식 한자연 대표, 114개 회원센터들과 연계해 전환지원 할 것 장애인단체가 직접...
▲2024년 경기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 평가 지표 설명회 장면. /사진=경기도

경기도, 내년부터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평가한다

주간보호 서비스 품질 향상과 표준화 체계 마련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이 내년부터 도내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운영 실태, 인력 관리 등을 평가해 시설들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유도한다고...

많이 본 글

▲지하철 9호선ⓒ서울시

[기고] 양천향교역, ‘장애인 에스컬레이터 추락사’ 책임은 ‘지하철 9호선’

정치권의 퍼포먼스에서 끝나버린 이동권 문제, 이번에도 개선의 움직임은 없었다. 장애계의 이동권 투쟁이 연일 화젯거리다. 문제는 화제가 되더라도 정작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곳은 그 어디에도...
Language »